성서와 노마드 경제
'노마드 경제'라는 말은 내가 처음 사용하는 것 같다. 성서 안에서 노마드 경제의 원리를 찾아보면서 생각한 말의 조합이다. 과연 성서는 우리에게 경제를 어떻게 가르치는지를 알고 싶어 찾아 나섰다. 특히 우리 나섬의 지체들 가운데 어려운 이들이 있음을 보면서 경제 문제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다.
나섬의 지체들은 이주민들이거나 이주민 사역에 관심을 갖는 이들이다. 그러니 경제적 상황은 넉넉하지 않은 것이 분명하다. 이주민의 유입은 근본적으로 경제적 문제로부터 시작한다. 경제적 가난과 결핍이 이주를 결심하게 하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노동자이든 결혼이민자이든 이주의 원인은 경제다. 가난이 이유인 것이다. 가난하기 때문에 이주하는 사람들이니 그들의 경제를 ‘노마드 경제’라 부르자는 것이다.
또한 우리 교인들의 가장 큰 관심은 분명 경제일 것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요즘처럼 먹고 살기 어려운 시대적 상황에서 가장 큰 화두는 경제다. 경제의 문제를 떼어놓고 믿음을 말하는 것은 위선일지 모른다. 돈의 문제가 가장 큰 관심사이면서도 교회는 왜 돈과 경제의 문제에 대하여 무관심한 척 하려하는가? 이건 위장이며 위선이다. 우리는 좀 더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아니 더 정직해져야 한다.
성서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어떻게 생존하며 성공적으로 인생을 살았는지를 가르치는 책이다. 광야에서 만나와 메추라기로 먹고 살게 하셨다는 말씀을 믿는다면 이건 분명 인간의 삶에 대한 하나님의 경제학이다. 한마디로 성서는 하나님 나라의 경제학이라는 것이다. 말씀대로 살면 하나님이 책임지신다는 것이니 이것이 경제문제이지 무엇이겠는가?
성서 안에서 하나님의 경제를 배워야 한다. 성서에서 하나님의 경제를 배우면 분명 성공의 길이 열릴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나는 '성서와 노마드 경제'라는 주제로 말씀을 묵상하고 연구하려 한다. 그리고 그것을 실제적으로 우리 교인들은 물론이고 나섬의 이주민 나그네와 청년들에게 가르칠 생각이다.
나섬이 경제적 자립을 하기 위해서는 나섬의 지체들이 경제적 자유를 누려야 함이 당연하다. 우리안의 식구들이 성서를 통해 경제적 자생력을 갖는다면 자연히 우리 사역이 경제적으로 자유함을 얻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수없이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새로운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 햇빛발전소를 통해 에너지 주권을 확립하기 위하여 노력했으며, 한국교회에서는 가장 먼저 사회적 기업을 시작하기도 했다. 그동안 얼마나 많은 오해와 핀잔을 들어야 했던가! 그럼에도 우리는 그 길을 걸어왔다. 지금도 ‘사랑나눔가게’를 운영하고 있으며 카페를 비롯한 다양한 경제적 자립을 위한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이것은 나섬의 사역 자체이고 나섬의 선교적 미래를 담보하는 조건이다. 자생력 없는 선교는 지속가능하지 않다. 한국교회의 선교가 불확실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교회가 경제에 대하여 무관심했기 때문이다. 아니 경제에 대하여 정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서는 분명히 경제적 자유를 가르친다. 그래서 성서에서 말하는 ‘노마드 경제’ 공부를 시작하려 한다. 교인들에게 성서적 경제관을 가르치고 실천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면 분명히 우리는 성공할 수 있음을 믿는다. 나섬의 새로운 미래는 성서 안에서 하나님 나라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