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 몽골소개 > 문화

본문

86f119291ac8500eb5dd0e64e545eb7b_1466417몽골 문화의 특징은, 「유목」이라고 하는 2문자에 상징된다. 유목과는 문자 그대로, 정주하지 않고 가축을 데려 목초지를 요구해서 이동하는 생활이다. 최근 전통적인 유목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저하하여 전 인구의 4분의 1 (약60만명)정도로 감소했다. 그 배경으로는, 가혹한 자연상황과 현대의 문명이나 사회 정세의 변화 등의 이유로 유목 생활을 계속해 가는 것이 곤란해 진 것이다. 유목 국민의 생활의 일부라고도 말할 수 있는 가축을 육성하는 목초지는, 자연의 은혜의 대지이기 때문에 가장 소중히 여기고, 그 대지를 지켜보는 하늘을 숭배해 왔다. 유목의 사이클은, 몽골의 경우, 연 4회, 계절마다 숙영의 지역을 바꾸어 이동한다. 정착된 농사는 불가능하며 그들이 그나마 가장 오래 한 곳에 머무르는 것은 10월부터 4월 말까지이다.

유목민들의 평소 일은 그들의 가축을 보살피고 그들에게서 얻은 것들을 음식과 옷, 그리고 주거지로 만드는 것이다. 남성의 일은 방목과 식량의 준비 등이며, 여성은 착유나 가사기타 등의 작업을 맡고 있다.

유목 국민에 있어서 나무와 펠트로 된 조립식이동 주거 「게르」는 생활의 거점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집이라고 하는 의미의 게르 구조는 원형의 목제의 뼈대 위에 방수성의 천을 씌우고, 굴뚝을 통과시키는 작은 둥근 구멍이 있다. 겨울에는 「홀골」이라고 불리는 양의 똥을 마루 밑에 깔아 같이 양의 똥을 굳힌 고형연료 「풀」을 태워서 몸을 녹인다.

몽골의 유목 국민이 기르는 가축은, 통상, 5畜이라고 불리는 소, 말, 양, 염소, 낙타를 가르킨다. 가축의 가죽은, 물건이나 고삐에 사용하고, 유방을 짜 치즈로 다양한 유제품을 개발하고, 고기는 식용이라고 해서 뼈(복사뼈)를 아이의 장난감등에 이용한다. 그 중 유목 국민이 가장 특별한 정을 품고 있는 것은 말이다. 이동의 벗이며, 유방을 내 주는 어머니이며, 털로부터 멋있는 악기말 머리거문고 현(弦)을 만들 수도 있다. 말의 질주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몽골인의 운이 하늘에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긴 겨울의 계절이 지나가고, 짧은 봄의 뒤, 초여름을 맞이할 때, 말젖을 정령에게 바치는 의식이 행해진다. 그 후에 만들어지는 말젖술(마유주)은 「아이 래그(rug)」라고 불려 귀하게 여겨진다. 말젖을 자연 발효시킨 것으로, 알코올 도는 2∼4%정도. 색은 희고, 맛에는 산미가 있어, 영양가가 높다. 배의 살균 작용에도 좋다고 일컬어져, 여름철에 이것을 마셔서 식사 대신으로 하는 사람도 많고, 어른은 물론 아이도 마신다. 아이 래그(rug)를 처음으로 마신 사람은 한번 설사를 하게 되지만, 배가 살균되었다고 받아들이고 그 다음에 마실 때에는 정상으로 돌아온다고 한다(원래 유제품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은 예외). 또, 아이 래그(rug)를 몸에 칠하면 살결이 곱게 햇볕에 탄다고 한다. 여름의 유목 국민에게는 없어서는 안되는 귀중한 미용음료이며, 에너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유목 국민의 식사의 주된 것은, 말젖과 소의 치즈, 고기가 기본이다. 양의 고기는 피를 한 방울도 흘리지 않고, 관절에 따라 나눠서 오나베(大鍋)에 넣어 짠맛에서 삶아서 먹는 것이 기본이다. 몽골의 주식은 양의 고기이지만, 각각의 가정, 지역에서 여러 종류의 고기를 사용하고 있다. 수도(울란바토르)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주로 소와 양, 남 고비 지방주변의 사람들은 낙타의 고기, 그 외, 지방에서는 염소나 말 고기 등을 먹고 있다. 옛날에는, 주로 고기뿐으로 대부분 야채는 먹지 않았고, 본래의 뼈와 삶은 고기 이외에 중국이나 러시아의 영향으로 요리의 종류가 늘어났다.

[04982]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 1 (광장동 401-17) 사)몽골울란바타르 문화진흥원
대표전회 02-446-4199, 팩스 02-446-4489
Copyright © MONGOLCENTER. All RIGHTS RESERVED.